2023/07/21

에어컨 가동시 습도문제 해결 자동화2



2년간 테스트해보니 전기소모량은 크게 차이나지 않고 습도관리는 가능.
송풍모드를 사용하지 않아 냉각팬에 맺힌 물방울 때문에 곰팡이 쓸 우려를 제기하지만 짧은 시간 on/off에는 크게 염려하지 않아도 됨. 재가동되면 맺힌 물방울은 다시 배수구로 빠져 나가고 장시간 off시에만 자동건조를 30분이상 돌려주면 됨.

** 휴일 또는 주간에 사용할 때나 실외 기온이 매우 높은 상태에선 인버터 에어컨이라면 온도설정하고 자동화 off하고 그대로 두는 게 좋음. 재가동될 때 소비전력이 증가하여 하루 전체 소비전력을 높임. 그래서 주로 저녁이후 야간에 사용하는게 효과가 좋음.

** LG에어컨에서 공기청정과 자동건조는 송풍모드을 이용해 작동하므로 공기청정 리모컨 신호를 사용해도 무방.


에어컨 가동 트리거는 타임패턴으로 5분마다 실내온도 28도 체크해 도달시 에어컨 가동
- id: aircon/on
  alias: aircon/on
  triggers:
    - trigger: time_pattern
      minutes: "/5"
  conditions:
    and:
      - condition: numeric_state
        entity_id: sensor.livingroom_temperature
        above: 28
      - condition: state
        entity_id: input_boolean.aircon_livingroom
        state: 'off'
  actions:
    - action: input_boolean.turn_on
      entity_id: input_boolean.aircon_livingroom


에어컨 off는 플러그의 소비전력 200w이하이거나 실내온도 27도 도달시 가동중지. 실내온도 27도로 빠르게 도달하게 하려면 에어컨 ON신호를 26설정온도의 ON신호로 켜는게 중요.
- id: aircon/off
  alias: aircon/off
  triggers:
    - trigger: numeric_state
      entity_id: sensor.aircon_outlet_power
      above: 10
      below: 200
      for: '00:01:00'
    - trigger: numeric_state
      entity_id: sensor.livingroom_temperature
      below: 27
      for: '00:00:10'
  actions:
    - action: input_boolean.turn_off
      entity_id: input_boolean.aircon_livingroom


자동건조 스크립트인데 아침 출근전 자동화로 가동시키면 30분간 자동건조를 타이머로 실행하고 에어컨 가동 자동화도 off시킴.
script:
aircon_auto_dry:
  sequence:
    - service: homeassistant.turn_off
      entity_id:
        - automation.aircon_on
        - automation.aircon_off
        - automation.aircon_dehumid
    - service: homeassistant.turn_on
      entity_id: input_boolean.dry_livingroom
    - service: timer.start
      entity_id: timer.dry_livingroom